전체 글
-
복제양 돌리를 탄생시킨 과학자 이안 윌머트신기한 과학 2024. 2. 11. 10:00
영국의 과학자이자 발생학자 이안 윌머트는 복제양 돌리를 탄생시킨 연구팀의 리더였습니다. 복제양 돌리는 어떻게 탄생하게 된 걸까요? 복제란 무엇일까요? 복제란 말은 생물학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법 비디오테이프 복제', '불법 시디 복제'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복제란 본디의 것과 똑같은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합니다. 비디오 테이브나 시디 같은 물건은 복제하기가 쉽습니다. 원본비디오테이프나 시디를 기계 장치에 넣고, 새 비디오테이프와 시디에 원래 정보를 그대로 담는 것입니다. 생물학에서 사용되는 복제의 뜻도 이와 비슷합니다. 생물학에서 복제는 살아 있는 생물의 정보를 그대로 옮겨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이렇게 복제된 생물을 영어로 'c..
-
"유레카!"를 외친 물리학자 아르키메데스신기한 과학 2024. 2. 10. 18:00
고대 그리스의 물리학자이자 수학자, 천문학자 겸 공학자이기도 한 아르키메데스 욕조에서 "유레카!"를 외친 인물입니다. 아르키메데스는 어떤 발견을 하게 되었을까요? 물속에서는 왜 물체의 무게가 가볍게 느껴질까요? 씨름 선수들이 돌을 들어 올린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모래사장에서 돌을 드는 것과 물속에서 돌을 드는 것입니다. 씨름 선수들이 모래사장이나 물속에서 들어 올린 돌은 똑같은 것입니다. 돌의 무게가 다를리는 없지만 씨름 선수들이 모래사장과 물속에서 쓴 힘에는 왜 차이가 나는 걸까요? 씨름 선수들이 물에서는 왜 적은 힘으로도 돌을 들어 올릴 수 있는 걸까요? 씨름 선수들이 물속에서 보다 적은 힘을 쓰고도 돌을 들어 올릴 수 있는 건 도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도우미는 물 여기서의 도움은 씨름 선수들이 힘을 ..
-
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는 왜 지동설을 주장했을까?신기한 과학 2024. 2. 6. 16:33
폴란드 천문학자 코페르니쿠스가 지동설을 주장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겠죠? 하지만 코페르니쿠스가 갑자기 지동설을 주장하고 사람들이 그 사실을 받아들인 건 아닙니다. 그럼 어떻게 지동설을 이야기하고 받아들이게 되었을까요? 최초로 지동설을 주장한 아리스타쿠스? 고대에는 지구가 정지해 있고 태양을 비롯한 행성들이 그 주위를 돌고 있다는 천동설만 있었고 태양을 중심으로 모든 것들이 돌고 있다는 지동설은 제가 처음으로 주장한 것으로 알고 있겠지만 사실은 아닙니다. 고대 그리스에도 이미 천동설과 지동설이 모두 있었습니다. 지동설은 '태양 중심 천문 체계'라고도 하고 천동설은 '지구 중심 천문 체계'라고도 합니다. 고대 그리스에서 있었던 천동설과 지동설의 경쟁에서 지동설이 밀려났기 때문에 천동설이 고대의 대표적인 천문 ..
-
갈릴레이가 발견한 그네의 왕복운동, 가속도에 대해서신기한 과학 2024. 2. 3. 09:00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 그네의 왕복운동과 가속도에 대해 정리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그네의 왕복운동 그네의 운동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 세 그네를 실험해 보겠습니다. 세 그네의 줄의 길이는 각각 1m, 4m, 9m입니다. 우선 같은 그네에 몸무게가 다른 세 명의 어린이를 차례로 태워 보는 것으로 가정하겠습니다. A, B, C 어린이의 질량은 각각 30kg, 40kg, 50kg입니다. 이 세 어린이를 차례로 그네에 태워 그네가 다시 제자리로 올 때까지 걸린 시간을 재어 보겠습니다. 모두 같은 높이까지 그네를 당긴 후 손을 놓았을 때 제자리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재보겠습니다. 먼저 A 어린이는 제자리로 돌아오는 데 걸린 시간은 2초입니다. B 어린이는 2초입니다. C 어..
-
아이작 뉴턴의 만유인력은 무엇일까요?신기한 과학 2024. 1. 31. 09:00
잉글랜드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은 만유인력을 어떻게 발견하게 되었을까요? 알아봅시다. 만유인력은 무엇일까요? 물체에 작용하는 근본적인 힘에는 어떤 힘들이 있을까요? 오늘은 먼저 만유인력이라는 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질량을 가진 두 물체는 서로를 끌어당기는 만유인력이 존재합니다. 만유인력은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두 물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질량이 A(kg)인 물체와 질량이 B(kg)인 물체가 어떤 거리 R만큼 떨어져 있을 때 만유인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만유인력) = 0.000000000067 × A × B / R(2제곱) (N) 이때 두 물체 사이의 거리는 두 물체의 중심과 중심 사이의 거리입니다. 질량이 1kg인 두 물체가 거리 1m 떨어져 있다고 합시다. ..
-
천체물리학자 찬드라세카르가 발견한 별의 탄생과 죽음신기한 과학 2024. 1. 30. 17:00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찬드라세카르는 별에 대해 어떤 발견을 하게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별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별이 어떻게 태어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주에서 가장 많은 원소는 수소입니다. 우주의 원소 중 4분의 3은 수소 기체이고, 4분의 1은 헬륨 기체이며, 다른 원소들은 아주 적습니다. 우주가 처음 태어나던 당시에는 헬륨도 거의 없고 온통 수소뿐이었습니다. 하지만 우주가 지금까지 150억 년을 살아오면서 수소 중 일부가 헬륨으로 바뀌었고, 그러한 과정은 지금도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주는 거의 기체로 이루어져 있고, 우주 대부분의 질량을 차지하는 것은 별이므로, 별은 거의 기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입니다. 어떻게 기체들이 모여서 별을 만들 수 있을까요? 그리고 왜 수소의 양은 줄어들고..
-
과학자 로버트 훅이 발견한 세포란?신기한 과학 2024. 1. 29. 17:08
아주 작은 세포를 발견한 과학자 로버트 훅은 어떻게 세포를 발견하게 되었을까요? 알아보겠습니다. 세포는 아주 작습니다. 세포는 아주 작아서 맨눈으로는 안 보입니다. 물론 세포 중에는 알처럼 큰 것도 있지만, 보통 세포는 눈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식물의 잎을 봐도 세포는 안 보입니다. 사람의 눈은 약 0.2mm(=200㎛) 정도를 볼 수 있습니다. 즉 0.2mm보다 작은 거리에 두 점이 있다면 그것을 한 점으로 본다는 것입니다. 세포의 크기는 보통 20㎛(1㎛=1/1,000cm) 정도입니다. 그러니 우리 눈으로는 세포와 세포가 구분되어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니 우리 눈으로는 세포와 세포가 구분되어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만일 우리 눈이 20㎛ 정도를 볼 수 있다면 어땠을까요? 얼굴이나 손에 있는 세포가 하..
-
물리학자 토리첼리가 발견한 대기압에 대해서신기한 과학 2024. 1. 23. 22:17
갈릴레이 갈릴레오의 제자이자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토리첼리가 발견한 대기와 대기압은 어떤 것일까요? 알아봅시다. 대기압이란 무엇일까요? 땅 위에는 공기가 가득합니다. 지표 위에 쌓여 있는 이러한 공기를 일컬어 대기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지구 대기를 누르는 힘을 대기 압력이라고 합니다. 대기 압력을 줄여서 대기압이라고 부릅니다. 지구에 대기압이 있다는 것을 알아낸 사람이 바로 토리첼리입니다. 지하수를 끌어올려 주는 힘의 원천이 지구의 대기압이고, 그것이 미치는 범위가 물은 10.3미터, 수은은 76 센티미터 까지란 걸 토리첼리가 알아냈습니다. 대기가 눌러 주는 이만큼의 힘을 1 기압이라고 정의합니다. 즉, 1 기압은 물기둥 10.3미터, 수은기둥은 76센티미터까지 끌어올려 주는 압력입니다. 1 기압 = 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