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한 과학
-
식물학자 멘델이 발견한 유전의 법칙이란?신기한 과학 2024. 1. 23. 15:28
오스트리아 식물학자 그레고어 멘델은 완두콩으로 유전에 대한 실험을 시작하게 되어 7년 만에 '멘델의 법칙'을 발견했습니다. 멘델이 어떻게 유전의 법칙을 발견하게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유전이란 무엇일까요? 여러분의 모습은 누구를 닮았나요? 바로 부모님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부모님의 어느 부분을 더 닮았는지 자세히 들여다봅시다. 예를 들어 쌍커풀은쌍꺼풀은 어머니, 머리카락 색은 아버지를 닮은 사람이 있다고 합시다. 이런 경우 쌍꺼풀은 어머니에게 물려받은 특징이고, 머리카락 색은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부모로부터 자손에게 전달되는 몸의 생김새와 크기, 성질 등을 '형질'이라고 합니다. 앞서 말한 쌍꺼풀, 머리카락 색 등이 모두 형질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유전'에 대해 다음..
-
생물학자 톰슨이 알려주는 줄기세포란?신기한 과학 2024. 1. 22. 18:00
줄기세포를 최초로 발견한 미국 위스콘신 대학의 제임스 톰슨 교수는 어떻게 줄기세포를 발견하게 되었을까요? 먼저 세포란 무엇일까요? 세포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하려고 합니다. 줄기세포에 대해 알아보려면 일단 세포가 무엇인지 알아야하니까요. 벽돌집을 만들기 위해서는 수많은 벽돌이 필요합니다. 이 벽돌이 차곡차곡 쌓여 벽돌집을 이룹니다. 식물이나 동물의 경우도 벽돌집과 마찬가지로 세포라는 작은 단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세포의 모양과 크기는 같을까요? 다를까요?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의 종류는 심장세포, 간세포, 피부세포, 적혈구, 백혈구 등 몸을 이루는 부분에 따라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다양하게 생겼습니다. 또한 크기도 눈으로 볼 수 있는 것부터 전자현미경으로 봐야만..
-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 퀴리부인이 알려주는 방사능이란?신기한 과학 2024. 1. 22. 15:10
방사능 분야에서 선구자로 알려진 프랑스 과학자 퀴리부인! 방사능 분야에서 어떻게 선구자가 되고 노벨상까지 받을 수 있었을까요? 퀴리부인이 알려주는 방사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가시광선은 무엇일까요? 빛에는 빨강, 노랑, 파랑처럼 눈에 보이는 빛도 있고 우리 눈으로 볼 수 없는 빛도 있습니다. 오늘은 눈에 보이지 않는 빛에 대해 알아봅시다. 리모컨 스위치를 누르면 왜 TV가 켜질까요? 그것은 리모컨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TV에는 이 빛을 받으면 작동되는 센서가 있습니다. 그래서 센서가 이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을 받아 TV의 전원을 자동으로 켜지게 하는 겁니다. 그런데 리모컨과 TV의 센서 사이에 두꺼운 책을 놓아두고 다시 리모컨 스위치를 눌렀을 ..
-
탐험가 콜럼버스가 알려주는 바다의 역사와 해양탐사신기한 과학 2024. 1. 22. 03:11
이탈리아의 탐험가이자 항해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어떻게 해양탐사를 시작하게 되었을까요? 바다의 역사부터 알아봅시다. 바다는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을까요? 45억 년 전, 태양계의 한 곳에 지구의 땅덩이에는 아직 생명체의 기운이 움트지 않고 있었습니다. 이런 땅덩이를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두텁게 감싸고 있었습니다. 그즈음 지구는 지름 10여 킬로미터 내외의 소행성과 잦은 충돌을 일으켰습니다. 지축이 흔들리는 소음이 연일 끊이지 않았고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 에너지는 지구의 온도를 높여주었습니다. 지표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지구 대기를 휘감고 있는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그것을 막았습니다. 이른바, 온실효과가 나타난 것입니다. 그러니 지구의 온도가 낮아지기는커녕 더욱 올라갔습니다. 지표의 ..
-
수학자 블레즈 파스칼이 알려주는 확률론이란?신기한 과학 2024. 1. 21. 09:00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과학자 블레즈 파스칼의 확률론에 대해 알아봅시다.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가능한 방법의 수는 몇 가지일까요? 모든 경우의 수를 헤아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경우의 수를 헤아릴 때 조심해야 할 점은 어떤 경우도 빼먹지 말아야 하고 또한 어떤 경우를 두 번 헤아리지 않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곰인형 2개와 사람인형 3개, 이 인형들 가운데 한 개의 인형을 가지는 방법은 모두 몇 가지인지 알아봅시다. 가질 수 있는 인형은 곰인형 또는 사람인형입니다. 곰인형에는 두 종류가 있으므로 곰인형 하나를 가지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또한 사람인형은 세 종류이므로 사람인형을 가지는 방법은 3가지입니다. 이제 곰인형 또는 사람인형을 가지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또한 사람인형은 세 종류이므로 사..
-
과학자 코리올리가 알려주는 대기현상은 왜 이럴까?신기한 과학 2024. 1. 20. 23:56
프랑스 수학자이자 과학자 코리올리는 대기현상에 대해 어떻게 알게 되었을까요? 지구 대기는 왜 이럴까요? 알아봅시다. 지구의 대기는 어떻게 구분될 수 있을까요? 우주 공간의 천체들을 보면 기체가 있는 것이 있고, 없는 것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달은 기체가 아주 희박한 반면, 지구는 기체가 풍성합니다. 천체를 둘러싸고 있는 기체를 대기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달은 대기가 거의 없는 천체이고, 지구는 대기가 풍부한 천체가 되는 것입니다. 지구에 있는 대기를 지구 대기라고 하는데, 흔히 그냥 대기라고 부르곤 합니다. 지구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대기층을 '대기권'이라고 합니다. 대략 지상 1,000킬로미터까지의 공간을 뜻합니다. 대기는 여러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고, 꽤 높이까지 뻗어 있습니다. 대기를 구성하는 대..
-
우주 비행사 닐 암스트롱이 알려주는 달은 무엇일까?신기한 과학 2024. 1. 19. 09:00
매일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보이는 달, 올려다보기만 했지 가본 적도 없고 가볼 것이라고 상상도 하지 못했지만 최초로 달에 간 사람이 있습니다. 우주 비행사 닐 암스트롱은 어떻게 달을 가게 되었을까요? 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달은 무엇일까요? 우주에 있는 천체들을 분류해 보겠습니다. 먼저 항성입니다. 항성은 별이라고도 부르는데 스스로 빛을 내는 우주의 주인공입니다. 두 번째로는 어떤 항상의 주위를 빙글빙글 돌고 있는 행성입니다.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는 않지만 햇빛을 반사해 빛을 냅니다. 지구, 화성, 금성과 같은 천제들은 태양이라는 항성 주위를 도는 행성입니다. 태양은 9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습니다. 태양의 주위를 돌고 있는 9개의 행성은 '태양계'라고 불리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
-
과학자 제임스 왓슨이 발견한 DNA란?신기한 과학 2024. 1. 18. 17:00
미국의 분자생물학자 제임스 왓슨은 DNA 이중구조 나선을 발견했습니다. 어떤 발견이었는지 알아봅시다. DNA는 무슨 일을 하는 걸까요? 우리 몸은 약 60조 개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 몸은 60조 개의 세포라는 벽돌이 쌓여 이루어진 셈입니다. 하지만 세포는 그냥 벽돌이 아닙니다. 그 벽돌 하나하나가 공장처럼 이루어져 60조 개의 공장이 있는 것과 같습니다. 그 공장들은 각자 맡은 일은 열심히, 쉬지 않고 하고 있습니다. DNA는 세포가 하는 일을 조절한다? DNA는 세포에게 일을 하게 하고, 세포가 하는 일을 조절합니다. 세포는 세포질과 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세포의 중심에는 핵이 있는데 핵 안에 DNA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일은 DNA의 지시에 따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