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한 과학
-
과학자 엥겔만이 알려주는 광합성이란?신기한 과학 2024. 1. 18. 09:00
독일의 식물학자 엥겔만이 광합성을 어떻게 발견하게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햇빛이 없다면 우리는 어떻게 될까요? 햇빛에 실려 오는 에너지를 받아 식물이 자랍니다. 햇빛이 없으면 식물은 자라지 못할 뿐 아니라 결국에는 죽고 맙니다. 그러면 식물만 햇빛이 필요할까요? 동물은 식물을 먹고 살아갑니다. 동물은 식물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식물과 마찬가지로 동물도 햇빛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이 이용하는 에너지도 햇빛에서 얻거나 식물과 동물로부터 얻는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햇빛은 우주가 지구의 생물들에게 주는 가장 큰 선물인 듯합니다. 햇빛은 무려 1억 5천만 킬로미터나 날아서 지구에 도착합니다. 지구에 도착한 햇빛은 식물에게 에너지를 줍니다. 식물은 그 에너..
-
과학자 에라토스테네스가 들려주는 지구와 365일 이야기신기한 과학 2024. 1. 17. 15:00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에라토스테네스의 지구의 탄생과 1년 365일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주와 지구는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을까요? 지금으로부터 150억 년에서 200억 년 사이에 거대한 폭발이 있었습니다. 이 폭발을 가리켜서 '빅뱅'이라고 합니다. 빅뱅은 대폭발이라는 뜻입니다. 대폭발은 우주가 탄생한다는 신호였습니다. 그리고 100억 년쯤 후, 가스와 물질이 뭉치면서 태양계가 만들어지고 그 속에서 지구가 탄생했습니다. 지구 탄생 초창기에는 여러 공기들이 지구 대기를 휘감고 있었습니다. 산소나 질소와 같은 요즘 우리가 흔히 마시는 그런 공기는 아니었지만 수증기, 수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메탄 같은 기체였습니다. 이러한 공기를 아주 오랜 과거의 공기라는 뜻으로 '원시대기'라고 합니다. 그러..
-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가 들려주는 우주 비행 이야기신기한 과학 2024. 1. 17. 09:00
구소련의 물리학자이자 로켓 이론의 기초, 우주선 로켓의 창시자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의 우주 비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주로 날아가보고 싶은 적 있나요? 지구를 벗어나 우주로 날아가고 싶은 꿈은 인류가 오랫동안 품어 온 간절한 소망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그건 마음속의 바람일 뿐, 그 꿈이 현실로 이루어지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아니, 이루어질 것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고 하는 편이 맞을 겁니다. 비행기가 하늘을 날아다닌 20세기 초반까지도 우주 비행이 실현 가능하다고 본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았으니 말입니다. 그래서 '우주 비행은 반드시 실현 가능하다', '우주는 인간의 새로운 놀이터가 될 거야'라고 외치면 미친 사람 취급을 받곤 했지만 그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치올코프스키입니다...
-
과학자 칼 에드워드 세이건이 들려주는 태양계와 지구 이야기신기한 과학 2024. 1. 16. 18:00
20세기 후반 천문학 붐을 일으킨 미국의 천문학자 칼 에드워드 세이건의 태양계와 지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들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태양은 태양계의 중심이고 아홉 개의 행성이 그 주위를 돌고 있습니다. 아홉 개의 행성은 태양의 만유인력 때문에 태양계 밖으로 도망치지 못하고 그 주위를 빙글빙글 돌고 있습니다. 하지만 태양계에는 행성들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태양계의 무법자인 혜성이 태양계 밖에서 만들어져 태양계 사이를 돌아다닙니다. 그래서 어떤 혜성들은 행성과 충돌하기도 합니다. 태양계의 또 다른 주인공으로 소행성이 있습니다. 소행성은 행성이라고 부르기에는 너무 작은 바위 조각들이랍니다.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 몰려 있고, 이런 것들이 다른 행성들과 충돌하여 운석구덩이..
-
과학자 에드윈 허블이 들려주는 우주 팽창 이야기신기한 과학 2024. 1. 16. 09:00
허블의 법칙이라고 부르는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의 위대한 발견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주는 정지해 있을까요? 팽창할까요? 허블은 안드로메다은하의 수십 개의 변광성으로부터 온 별빛의 색깔이 빨간빛으로만 관측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바로 도플러효과 때문입니다. 안드로메다은하가 우리 은하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다른 색을 띠는 별빛들이 빨간빛으로 지구에서 관측되는 것입니다. 간단한 설명으로 풍선을 불기 전에 풍선에 별 모양 스티커를 몇 개 붙여 본다면, 이때 스티커와 스티커의 사이는 거리는 가까워야 합니다. 하지만 풍선을 크게 불면 풍선이 팽창하면서 스티커와 스티커 사이의 거리는 멀어집니다. 스티커를 은하라고 생각하면 은하와 은하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이 우주의 팽창을 뜻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
-
과학자 윌리엄 허셜이 들려주는 우주와 은하 이야기신기한 과학 2024. 1. 16. 00:40
작곡가이자 천문학자였던 윌리엄 허셜의 신비한 이야기, 우주와 은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주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요? 아주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눈으로만 밤하늘을 관측해 왔습니다. 그 당시에도 밤하늘의 주인공은 단연 별이었습니다. 천문학자들은 별들이 만들어 내는 다양한 모습에 따라 각기 다른 이름을 붙였는데, 그것이 바로 별자리입니다. 우주에 스스로 빛을 내는 별들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별 주위를 도는 행성도 있고, 행성 주위를 도는 위성도 있고, 우주 공간을 떠돌아다니는 소행성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별빛을 반사할 뿐, 스스로 빛을 내지는 못합니다. 은하 그렇다면 우주에는 별들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을까요?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별이 많이 보여 있는 곳이 있는가 하면, 또 어떤 곳에는 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