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우리 생활 속에 있는 '산' 어떤 것들이 있을까?신기한 과학 2024. 2. 26. 10:00
우리 생활 속에는 여러가지 '산'이 있습니다. 아세트산, 염산, 탄산은 어떤 것인지, 어떻게 발견하게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아세트산은 무엇일까요? 산, 이라고 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뭔가요? 아마도 식초가 아닐까 싶습니다. 식초의 역사는 술의 역사와 관계가 깊습니다. 과일즙이 발효하면서 알코올이 생기고, 더 오래 진행되면 식초가 됩니다. 그래서 식초는 구약 성경에도 나와 있을 정도로 그 역사가 길고, 지금까지도 우리 옆에 친숙하게 존재하는 산입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대략 1만 년 전에도 이미 조리용이나 약용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식초는 보관하던 술이 우연히 발효되어 만들어진 것입니다. 식초라는 뜻의 영어 'vinegar'는 프랑스어의 'vinaigre'에서 유래되었는데, 'vinaigr..
-
중학교 수학 도형의 합동, 기하학에 대해서신기한 과학 2024. 2. 21. 10:00
중학교 수학에서 많이 나오는 도형. 기원전 그리스 시대의 기하학자 유클리드는 발견한 삼각형의 합동, 기하학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삼각형의 합동이란? 강에는 사람이 살지 않는 미니 섬이라는 조그만 섬이 있습니다. 미니 섬은 강 한복판에 있는데 섬까지의 거리는 알 수 없었습니다. 미니 섬까지 가지 않고 자와 각도기만으로 섬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을까요? 이럴 때 '도형의 합동의 성질'을 이용한답니다. 합동이란 무엇일까요? 두 도형이 있는데 서로 대응하는 변의 길이가 같고 대응하는 각의 크기가 같으면 두 도형은 합동이라고 합니다. 삼각형 ABC와 삼각형 DEF가 있다고 할 때 두 삼각형은 합동입니다. 대응하는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변 AB와 변 DE 변 AC와 변 DF 변 BC와 변 EF 각 A와 각..
-
천문학자 라플라스가 창안한 천체역학이란?신기한 과학 2024. 2. 19. 09:00
프랑스의 천문학자 피에르 시몽 라플라스는 천체역학을 어떻게 창안하게 되었을까요? 천체역학의 창안자 라플라스는 어떤 사람일까요? 라플라스는 나폴레옹과 동시대를 산 프랑스의 과학자이고, 이론물리학자이면서 수학자로 폭넓게 활동한 사람입니다. 아인슈타인만큼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건 아니지만, 물리학자와 수학자들 사이에선 라플라스의 이름을 모를 수가 없을 정도로 상당히 인지도가 높은 사람입니다. 라플라스가 쌓은 이론이 있었기때문에 물리학과 수학이 크게 발전할 수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라플라스는 빛을 잡아먹는 천체를 상상한 최초의 과학자 중 한 사람이입니다. 그리고 천체역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이기도 합니다. 천체역학에 대해 서술한 이라는 책을 출판했고, 이것은 1798년부터 1827년에 걸쳐..
-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에 대해서신기한 과학 2024. 2. 18. 10:30
영국의 물리학자 제임스 프레스콧 줄은 에너지 보존의 법칙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에너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운동에너지란 무엇일까요? 에너지는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운동에너지를 알아보기 위해 사람 A가 인라인을 신고 운동장에서 수레차를 밀어보는 것으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A가 인라인을 신고 운동장에서 수레차를 밀었을 때 3m가 움직였습니다. A는 더 빨리 달려서 수레차를 밀었을 때 12m 움직였습니다. 빨리 달려서 수레차와 부딪칠 때 수레차에 더 많은 일을 합니다. 빨리 달렸다는 것은 속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속력이 클수록 수레차에 더 많은 힘이 작용됩니다. 속력이 일을 하기 만든 걸로 볼 수 있습니다. 속력이 있다는 것은 운동하고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어떤 속력으로 운동을 ..
-
우주의 탄생, 우주 빅뱅신기한 과학 2024. 2. 17. 09:00
영국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그는 불편한 몸에도 불구하고 그의 머릿속에는 우주 훤히 그려져 있었습니다. 호킹이 발견한 우주 빅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주의 시작은 어떤 모습일까요? 우리 우주의 처음 모습은 어땠을까요? 현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가 점점 멀어지고 있으니까, 시간을 거꾸로 돌리면 은하들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질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주가 처음 탄생했을 때는 모든 은하들이 붙어 하나의 점을 이루고 있을 겁니다. 초기 우주는 크기가 아주 작은 곳에 많은 물질이 모여 있다 보니, 아주 뜨겁고 압력이 높은 상태였습니다. 이것이 대폭발을 일으켜 지금처럼 커다란 우주가 된 것입니다. 이렇게 우주가 한 점에서 폭발해 현재 우주의 크기로 커졌다는 이론이 바로 '빅뱅 이론'입니다. 우주 초기..
-
물리학자 뉴턴이 발견한 중력에 대해신기한 과학 2024. 2. 13. 16:00
'고전적 중력 이론'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잉글랜드의 물리학자 뉴턴이 발견한 중력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지구 중심에서는 어떤 힘이 있어 끌어당기는 걸까요? 옛날에는 '지구가 둥글다'는 주장은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이를 반박하는 주장이 여기저기서 강하게 터져 나왔습니다. 반대하는 사람들이 내세운 논리는 지구가 둥글다고 했을 때, 지구 반대쪽에도 사람들이 있어야 할 것이고 거꾸로 서 있다는 얘기가 되는 겁니다. 거꾸로 서 있으면 지 밖으로 떨어져야 하니 말이 지구가 둥글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지구 구형 옹호론자들은 이러한 반박에 적절히 응수하지 못했고, 그 대답은 뉴턴은 하게 됩니다. 뉴턴과 사과 물리학자 뉴턴은 사과나무 아래에서 사색에 잠겨 있었는데, 사과가 뚝 떨..
-
생물학자 콘라트 로렌츠는 왜 야생 거위를 연구했을까?신기한 과학 2024. 2. 12. 10:00
오스트리아 생물학자이자 동물행동학자 콘라트 로렌츠는 많은 동물 중에 왜 야생 거위를 연구하게 되었을까요? 야생 거위를 연구한 콘라트 로렌츠 콘라트의 아버지는 정형외과 의사였는데 동물을 좋아해서 집에서 많은 동물을 좋아해서 집에서 많은 동물을 키우도록 허락했었고, 콘라트도 아버지처럼 동물을 좋아해서 어려서부터 동물에 많은 관심을 가졌었습니다. 어릴 적부터 어디 여행이라도 가면 각종 물고기나 새,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등을 데려와 집에서 길렀습니다. 또 길을 잃은 동물이나 다친 새들을 데려다가 키우며 동물과 가까이 지냈습니다. 젊은 청년 시절에는 집 근처의 쇤부르너 동물원에서 병든 동물을 간호하며, 조류의 행동을 자세히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의학 공부를 하며 갈가마귀의 행동을 자세히 관찰하며 1..
-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불확정성 원리는 무엇일까요?신기한 과학 2024. 2. 11. 22:31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불확정성 원리를 어떻게 발견하게 되었을까요? 알아보겠습니다. 움직이면 줄어드는 에너지? 원자는 가운데 원자핵이 있고 그 주위를 전자가 원을 그리며 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물리적으로 문제가 있는데 어떤 문제일까요? 커다란 고깔모자를 뒤집고, 조그만 구슬을 손가락으로 튕겨 구슬이 고깔모자를 따라 원을 그리며 돌게 하였다고 하였을 때, 이 구슬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손가락으로 튕겨 구슬의 에너지를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물체가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면 물체는 빙글빙글 돌 수 있습니다. 이 구슬을 좀 더 관찰해보면 구슬은 점점 느려지고, 나선을 그리며 고깔의 중심으로 떨어질 것입니다. 왜 구슬이 계속 원을 그리며 돌지 못했을까요? 그것은 구슬이 원을 그리며..